자유게시판
  • share
hero-profile
혈당PT
4개월 전
images/feeds/ea7d421283e04a479b649ac20bf79682
안녕하세요! 닥다여러분~ 🥰
닥다 여러분께서는 ‘비만’의 정의를 어떻게 알고 계신가요?
기존의 비만 정의는 체질량지수(BMI)에만 의존해왔는데요,
체질량지수와 같은 획일화된 기준으로는 비만을 온전히 설명하기 어렵고,
비만의 여러 측면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어요. 😓
images/feeds/1d0aa36f911640859e4551d02beae50b
따라서 최근 국제적으로 비만 진단 기준이 새롭게 정의되고 있는데요,
닥다의 이번 칼럼에서는 새로운 비만 정의와 그 의미를 살펴보려고 해요!🤗
*체질량지수(BMI)의 한계와 새로운 진단 방법
BMI는 체중(kg)을 키의 제곱(m²)으로 나눈 값으로,
간단한 계산법으로 사용이 편리하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어요!
👉체질량 지수로 비만을 판단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
■ 근육량이 많은 경우
images/feeds/751bed1be20544bda720a4111d9b2b94
운동선수처럼 근육량이 많은 경우는 BMI가 높게 측정되기도 해요!
■ 지방 분포의 차이를 간과하는 경우
images/feeds/789114d7b8e446ae88549f2bfed12b65
복부 지방과 같은 특정 부위의 지방 분포는
건강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BMI는 이를 반영하지 못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허리둘레, 체지방 분포, 관련 건강 문제를 포함하는 새로운 진단 기준이 발표되었는데요,
그렇다면 새로운 비만 정의 어떤 점이 반영되었을까요?
새로운 기준은 비만을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해요!
✅ 비만의 정의
■임상적 비만(Clinical Obesity)
장기 기능 장애나 건강 문제(예: 지방간, 고혈압, 호흡 곤란)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말해요.
■ 임상 전 비만(Pre-clinical Obesity)
높은 체지방량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는 건강 문제나 기능 저하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데요,
이 정의는 비만을 단순히 "체중의 문제"로 보지 않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방법이예요.
비만의 새로운 진단 기준에 따라 당연히 치료 방향도 달라지겠지요?
✅ 비만 치료의 새로운 접근법
임상적 비만의 치료는 체중 감량뿐 아니라,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맞춤형 치료가 필요해요.
예를 들면, 행동 변화, 약물 치료, 대사성 비만 수술등의 방법이 대상자에 맞게 진행될 수 있어요!
images/feeds/577a83ac05ac4e87bf023daa98795b89
임상 전 비만의 경우는 건강 상담과 예방적 관리를 통해 비만 관련 질병의 위험을 낮추는 데 초점을 두고 있어요!
이번 변화는 비만을 단순히 외형적 문제로 보던 인식에서 벗어나,
의학적 질병으로 다루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
이는 비만으로 인한 낙인을 줄이고,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와 상담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최근 동향에 따라 닥다의 비만 관리 솔루션 또한
새로운 비만 정의를 반영한 개인 맞춤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어요!
images/feeds/716a9afa9ab5408d9f00b8e30a5c87ca
닥다는 연속혈당측정기(CGM)를 통해 식단과 혈당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임상 전 비만의 경우 행동 변화와 예방적 관리를 위한 전문가 상담 및 코칭이 진행되고 있어요!
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아닌 건강 전반의 문제이므로
새로운 비만 정의와 함께 닥다는 개개인의 상태에 맞춘 솔루션으로 건강한 삶을 지원하고 있어요!
건강한 체중 감량이 필요한 닥다 여러분~!
닥다 코치와 함께 해요! 🙆‍♀️
따스한 봄바람이 마음을 설레게 하는 요즘인데요🌸
다음 주에도 건강하고 유익한 이야기로 다시 만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