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고혈당 이슈! 당뇨 합병증의 위험과 예방 방법
얼마전 전 국민에게 사랑을 받아오던 국민 배우가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어요. 사망의 원인이 스트레스로 인한 고혈당 쇼크사(Stress induced Diabetiec Ketoacidosis)였다는 사실이밝혀지며 고혈당으로 인한 당뇨 합병증의 위험성을 알 수 있는 사건이었지요.
고혈당이란?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목표는 공복 80~130mg/dL, 식후 2시간 혈당 180mg/dL 이하인데 당뇨환자의 혈당이 이보다 높은 250mg/dL 이상인 경우“조절되지 않는 고혈당” 이라고 해요.
심한 고혈당의 전형적인 증상은 다뇨, 다식, 체중 감소, 피로감, 피부 및 구강의 건조, 시야가 흐려짐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해요.증상이 없어도 고혈당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되면 눈, 콩팥, 신경, 심장, 뇌혈관 등에 당뇨병 만성 합병증이 생길 수 있고 당뇨병성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과 같은 급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요.
당뇨병성 케톤산증 이란? What is Diabetic ketoacidosis?
인슐린이 부족한 상태에서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스트레스 호르몬이 증가하고 당분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저장된 지방질을 분해해 케톤체가 많이 생성되고 체내 액성이 산성으로 바뀌어요. 그 결과 호흡, 심박동이 빨라지며 의식소실, 사망까지 할 수 있는 당뇨병의 위험한 급성 합병증이에요.
이번 칼럼에서는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같은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하게 당뇨를 관리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보려고 해요~!당뇨병이 있어도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생활 속 관리방법 함께 알아볼까요~!?
1)자가혈당 검사
자가혈당 측정은 혈당조절 목표에 도달했는지 알려주고 식사, 운동, 약물요법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이해하고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저혈당예방, 당뇨병 악화, 합병증 발생을 지연시키는데 필수적이에요.
환자에 따라 매일 일정시간에 측정하되 저혈당 증상, 몸이 심하게 아플 때, 고혈당 증상, 운동량의 변화가 있을때도 검사를 하는 것이 좋아요.
2)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및 불안, 우울, 적대감 등 스트레스와 관련된 감정 상태는 체내 호르몬에 영향을 주어요. 특히 아드레날린과 같은 호르몬을 분비시켜 당뇨병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과 적절한 휴식오락으로 관리가 필요하지요.
3) 운동
운동요법은 체중 및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켜 혈당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해요.
당뇨병 환자의 혈중 지질 농도와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낮추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유산소운동은 중강도(최대심박수의 50~70%, 최대심박수=220–나이)의 유산소 운동을 일주일에 150분 이상하는 것이 좋아요 (예: 조금 숨이 찰 정도의 속도로 매일 30분씨 걷기)적어도 주 3일이상하는 것이 좋고 이틀이상 쉬지 않도록 해요.
노인, 말초병신경병증, 당뇨병 망막병증이 동반된 경우 뛰기, 점프 등 고강도 운동은 피해야 해요 .
근력운동은 특별한 금기가 없다면 주 2~3회 시행하고 최대근력(한 번에 들 수 있는 가장 큰 무게)의 50-69% 강도로 8회~15회씩 3세트 반복하는 것을 권장하며,상체운동과 하체운동을 병행해요.
4) 금연
당뇨병 환자가 흡연을 하면 사망률이 1.74배 증가한다고 해요. 니코틴은 체내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증가시켜 혈당을 상승시키고 인슐린저항성을 증가시킬 수있어요. 당뇨병 환자가 금연하면 심혈관 질환 위험도가 감소해 사망률과 이환율이 모두 낮아지므로 모든 당뇨병 환자는 금연하도록 노력해야해요.
닥다 코치의 한마디
당뇨를 가지고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큰 스트레스를 받는 분들도 계실거에요.
하지만 당뇨는 식사, 수면, 스트레스, 운동,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검사와 관리가 이어지면 충분히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걸 잊지마세요~!
자신의 건강목표를 명확히 하고 꾸준한 관리 습관을 쌓아 갈 수 있도록 Dr.diary가 함께 할게요~!~!
15명
1명
3명
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