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다칼럼
당뇨 관리에 있어서 약을 복용하지 않고,
생활습관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
너무나 이상적이죠!
하지만 공복혈당 수치가
126 mg/dL 이상이거나,
하루 중 혈당이 200 mg/dL 이상인
제 2형 당뇨병에는 약물 치료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합니다!
안타깝게도 당뇨가 진행될수록
혈당 조절이 점점 어려워져
고혈압, 비만, 고지혈증 등을 함께
겪게 되요.
국내 65세 이상
당뇨병 환자 중 60%가
세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어요.
여러 만성질환을 겪게 되면
챙겨야 하는 약물 종류도
많이 늘어나는데,
여러 약물을 한꺼번에
복용하게 되면
약물간의 상호작용으로
생각지도 못한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당뇨병 약을 먹을 때,
어떤 약을 조심해야 할지
함께 알아보아요!
-염증을 억제시키는 부산피질 호르몬제-
관절염이나 천식, 알레르기 등에서 사용되는 약물로
연고제로 사용하면 혈당에 영향이 없지만,
약물로 복용하거나 주사제를 사용하여
혈관으로 약 효능이 전달 될 경우 상황이 달라집니다.
특히나 단기복용이 아닌 장기복용을 할 경우에는
혈당을 많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과의 상담이
꼭! 필요해요~
-부정맥과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는 베타 차단제-
베타 차단제는 몸의 저혈당 인지 능력을 떨어뜨려서,
당뇨병 환자의 경우 정상 혈당으로 빠르게 회복되지 않아
위험해질 수 있어요!
-고지혈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스타틴-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을 주는 스타틴 약물은
당뇨병 약물과 함께 사용될 경우
혈당이 오를 수 있어요!
-다양한 항생제 종류-
항생제를 사용하면
장내미생물 환경이 깨지면서
기존에 먹던 음식을 먹어도
혈당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나 건강보조 식품은
오히려 당뇨병 관리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점!
그래서 당뇨약을 먹으면서,
다른 만성질환이나 감기, 관절염 등으로
다른 약도 복용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꼭! 주치의와 상담하는 것을 추천해요!
당뇨병 먹으면서
다른 약 먹는 것으로
궁금한 점 있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10명
5명
2명
1명